반응형
2025년부터 대중교통비 절감을 위한 K-패스 제도에 '다자녀 가구' 유형이 새롭게 신설되며, 환급 혜택이 확대됩니다. 본 글에서는 K-패스 다자녀 가구 등록 조건, 환급률, 인증 방법 등 실질적인 정보를 종합적으로 안내합니다.
K-패스란?
K-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, **월 최대 60회(일 최대 2회)**까지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.
구분내용
적용 대상 | 만 19세 이상, K-패스 참여 지자체 거주자 |
이용 기준 |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환급 |
환급 횟수 | 월 최대 60회, 일 2회까지 (일부 지자체는 초과분도 환급) |
교통 수단 | 시내버스, 광역버스, 도시철도, GTX 등 |
2025년 신설: 다자녀 가구 유형
기존 일반, 청년, 저소득층 유형 외에 '다자녀 가구' 유형이 추가되어, 더 높은 환급률이 적용됩니다.
유형 구분 | 정의 | 환급률 | 2,000원 기준 환급액 |
일반 | 타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이용자 | 20% | 400원 |
청년 | 만 19~34세 (청년기본법 기준) | 30% | 600원 |
저소득층 |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| 53.3% | 1,070원 |
다자녀 (2자녀) | 자녀가 2명 이상, 1명 이상이 만 18세 이하인 성인 | 30% | 600원 |
다자녀 (3자녀) | 자녀가 3명 이상, 위 조건 동일 | 50% | 1,000원 |
복수 조건 충족 시 가장 높은 환급률이 적용됩니다.
다자녀 가구 등록 조건
- 자녀가 2명 이상이며, 그 중 1명 이상이 만 18세 이하인 경우
- 환급 적용 대상은 성인(부모)만 해당
다자녀 가구 인증 방법
실시간 검증 방법
- K-패스 앱 또는 누리집 접속
- "My 메뉴 > 다자녀 정보" 항목 선택
- 주민등록번호 입력을 통한 세대원 정보 확인 → 자동 인증
수동 인증 방법
- 실시간 인증이 되지 않을 경우, 가족관계증명서 제출을 통해 수동 등록 가능
- 서류 확인 후부터 환급률 적용
K-패스 이용 절차
- K-패스 전용 카드 발급 (신용/체크/선불)
- K-패스 앱 또는 누리집 회원가입
- 다자녀 가구 인증 절차 진행
- 대중교통 이용 시 자동 적립 및 환급 적용
2025년 확대 내용 요약
항목 | 2024년 | 2025년 변경 사항 |
참여 지자체 | 189개 | 210개 (김제, 문경, 속초 등 추가) |
참여 카드사 | 11개사 | 13개사 (롯데, 레일플러스 등 5종 카드 추가) |
유형 구성 | 일반, 청년, 저소득층 | 다자녀(2자녀, 3자녀 이상) 유형 신설 |
지역형 K-패스 | 경기, 인천 | 광주, 경남 등 추가 지역형 K-패스 도입 |
참고 사항
- 첫 달은 15회 미만 이용하더라도 환급 가능
- 실물 카드 없이도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모바일 페이나 모바일 선불카드로 이용 가능
- 월 20만 원 초과 이용 시, 초과분에 대해선 50%만 인정됨
문의 및 카드 신청 안내
2025년부터 확대되는 K-패스 다자녀 혜택, 조건이 맞는다면 꼭 등록해보시기 바랍니다. 매달 실질적인 교통비 절감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반응형